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넥스트
- lifecycle
- Next
- 리액트
- Firebase
- react-query
- 파이어베이스
- JS
- 자바스크립트
- next-pwa
- JavaScript
- todolist
- React
- 리덕스
- debounce
- NextJS
- csr
- Recoil
- 생명주기
- Redux
- 리엑트
- 배열
- 달리기경주
- google firebase
- 투두리스트
- useMutation
- 겹치는 선분의 길이
- customModal component 만들기
- programmers
- SSR
- Today
- Total
목록JS (3)
끄적끄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3fJlm/btqOMqKz6J5/riqtx0Urf8ZfbvnInXHsBK/img.png)
! Javascript ? Typescript 위의 이미지와 비슷하게 Javascript와 Typescript는 비슷해보입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차이인 JS는 동적타입언어 이며 TS는 정적타입언어 입니다. 동적타입언어는 런타임시 변수의 타입이 결정되고, 정적타입언어는 컴파일시 변수의 타입이 결정됩니다. TS는 JS의 모든 기능을 포함하면서 정적타입을 지원하는 언어입니다. JS는 타입을 지정하지 않기 때문에 중간 마다 다양한 타입의 값들을 변수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유로움 덕분에 진입장벽이 낮고, 적은 코드에서의 생산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TS는 변수를 선언할 때마다 타입을 고민해야지만, 많은 코드에서의 생산성이 높습니다. 생산성의 차이는 변수와 같은 것들을 다양한 곳에서 사용하고 코드의 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1kD7/btqOFiqRl61/tKN98mymP2UWfUrnaoGank/img.jpg)
Javascript(JS)에서 중요한 개념인 Closure를 알아보겠습니다. JS를 사용해본 사람이라면 언젠가 들어봤을겁니다. 클로저. 하지만 개념이 어렵고 낯설어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지금부터 closure의 개념과 간단한 예제를 통해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클로저(Closure)란? Javascript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일급객체를 다루는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개념으로, 함수가 실행될 때 의 스코프(lexical scope)를 기억해 함수가 외부에서 사용됐을 때도 이를 기억해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이렇게만 들으면 매우 어렵습니다. 간단하게 전역변수를 지역변수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이렇게도 들어도 매우 어렵습니다. :( 코드로 살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vbDg/btqOcQI1nSG/zXsD0xquAgKTRYWrIliYWk/img.png)
이번 포스팅은 Javascript의 배열에서 자주쓰이는 함수들의 시간복잡도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배열은 정말 많이 쓰이는 자료구조 입니다. 그만큼 잘못사용한다면 성능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Javascript에서의 배열 함수들의 실행 구조와 시간복잡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우선 Javascript에서의 배열은 저희가 알고 있던 배열과는 조금 다릅니다. 일반적인 배열이라는 자료구조는 동일한 크기의 메모리 공간이 연속적으로 나열된 자료구조입니다.. 하나의 타입을 갖고 연속적으로 인접해 있는 상태입니다. address(메모리 주소) 1000 1008 1016 1024 array 10 20 30 40 index 0 1 2 3 이러한 배열을 dense array라고 합니다. 이렇게 생긴 형태의 배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