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Recoil
- JavaScript
- 배열
- 넥스트
- Redux
- todolist
- 생명주기
- google firebase
- useMutation
- next-pwa
- SSR
- Firebase
- NextJS
- customModal component 만들기
- react-query
- 자바스크립트
- React
- 파이어베이스
- debounce
- lifecycle
- Next
- 겹치는 선분의 길이
- 리액트
- 리엑트
- 투두리스트
- JS
- programmers
- 달리기경주
- csr
- 리덕스
- Today
- Total
끄적끄적
NPM 패키지 사이즈 확인하는 법 본문
유사한 기능의 패키지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그 때 마다 무엇을 사용할지 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한가지는 파일의 크기 일 것입니다.
npm에 나와있는 unpackedSize가 단순히 사용하게 되면 쓸 용량이라고 생각이 될 수가 있지만,
의존성이나, 개발 환경 파일, 등 많은 요소에 의해 실제 사용하게될 용량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패키지의 의존성이나 많은 것들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번들포비아 (https://bundlephobia.com/)
위 서비스에서는 특정 라이브러리를 검색하면 의존성있는 패키지들과 용량, 속도등을 확인시켜줍니다.
여기서 번들사이즈란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자바스크립트 파일의 크기이며, 웹 애플리케이션 성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2. 패키지포비아 (https://packagephobia.com/)
위으 publish Size는 압축된 크기로 npm 레지스트리에 크기이며,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될 때 크기입니다.
installSize는 패키지를 설치했을 때 로컬 시스템에서 차지하는 전체 크기이며 패키지 자체와 모든 의존성 패키지를 포함합니다.
3. npmtrends (https://npmtrends.com/)
npmtrends는 몇 가지의 라이브러리를 비교할 때 자주 쓰는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실제 설치 회수, 크기 등을 비교할 수 있으며 패키지의 인지도를 분석할 때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4. npm graph (https://npmgraph.js.org/)
마지막으로 npm graph 입니다.
의존성을 시각화해주며, 각 패키지의 크기와 의존성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R && SSR]SPA와 CSR, SSR (1) | 2020.11.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