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Redux
- debounce
- JavaScript
- react-query
- 생명주기
- Recoil
- programmers
- 배열
- 리액트
- lifecycle
- 달리기경주
- React
- SSR
- google firebase
- next-pwa
- 리덕스
- 리엑트
- Next
- NextJS
- JS
- Firebase
- 자바스크립트
- 넥스트
- customModal component 만들기
- 투두리스트
- todolist
- 겹치는 선분의 길이
- 파이어베이스
- csr
- useMutation
- Today
- Total
끄적끄적
[React + Firebase] 호스팅(Hosting) 본문
오늘은 React 프로젝트를 Firebase에 호스팅 하는 방법과 순서에 대해서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우선 Firebase란?
구글에서 제공해주는 인프라로 서버와 DB 등 많은 유용한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이용량과 사용하기에 따라 요금이 부과될 수 있지만 보통 작은 프로젝트나 개발연습용 정도의 사용량은 무료버전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저는 자주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아래 과정은 구글 파이어베이스에 프로젝트 등록이 되어있음을 가정하고 호스팅 과정을 보여줍니다.
1. 먼저 Firebase를 쉽게 이용하기 위한 명령줄 도구를 설치하겠습니다(Firebase CLI)
npm install firebase-tools -g
2. 프로젝트 초기화단계
// 1st 로그인은 1회만 하면 됩니다.
firebase login
// 2nd
firebase init
여기서 가끔 오류가 날 수 있는데
이런 오류가 났다면 1번 과정에서 firebase-tools 를 설치한 위치가 log에 남아있을텐데
그 주소를 복사하여 고급 시스템 설정 - 환경변수 에 추가를 해줍니다.
init 과정을 시작하게 되면
이런 멋진 글씨가 보이며 진행을 하게 됩니다.
이제 순서대로 진행을 해봅시다.
① Are You ready to proceed? Y
② 무엇을 진행할 것인가? 저희는 호스팅을 할거기 때문에 호스팅으로 방향키를 이동후 space -> Enter를 합니다
③ What do you want to use as your public directory? build (저희는 build 실행 후 그 파일을 호스팅하겠습니다)
④ SPA(Single Page Application)인가? Y/N 이부분은 자유롭게 하시면 됩니다
⑤ build/index.html이 이미 존재한다 덮어쓸 것인가 ? N
이제 초기화는 완료됐습니다.
3. 배포하기
build 파일을 이미 만들어놓지 않았다면 npm run build 를 실행한 후
대망의
firebase deploy
를 진행해줍니다.
이렇게 하면 Hosting URL을 통해 나의 프로젝트가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호스팅되었습니다 !_!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Redux]간단하게 만들어보는 Todolist(1) (0) | 2020.11.27 |
---|---|
[상태관리라이브러리] Redux(리덕스) (0) | 2020.11.25 |
[React] 자주 쓰이는 React 생명 주기(함수형편, useEffect) (0) | 2020.11.25 |
[React] 자주 쓰이는 React 생명 주기(Class편) (0) | 2020.11.25 |
[React + Firebase] OAuth 소셜 로그인 (0) | 2020.11.25 |